카테고리 없음 2012. 10. 8. 10:08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각 학교의 학풍이 있는 것이고,,


나름대로 각자의 장점을 키워 나가면 되는 것이지,, 물론 단점은 보완하고,,


아무런 색깔도 없는 학교들이 힘든 것이지,,








연세대 하면 대한민국 전통적인 3대 명문대학임에도 불구하고, 헌정 이후 서울대마피아나 고려해병대와는 달리 파벌이나 학벌 논란이 단 한번도 없던 학교입니다. 정치인수도 서울대 고려대에 비해서 압도적으로 적으며 매년 사법고시 외무고시 행정고시 응시생 숫자도 가장 적은학교에 속하는데도 항상 합격자는 3~4위로 꾸준히 배출합니다. 이 학교 출신들이 주로 권력의 세계에는 잘 안가는 경향이 확실히 존재하고, 대한민국의 학벌 문제는 세계에서도 알아주는데 각 지방대나 외대정도만 되도 으쌰으쌰하는 대한민국에서 그런 독보적인 이미지가 요즘 고등학생들

erob****
  • 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으며 이 연세만의 독특한 자유롭고 리버럴한 이미지가 최근 몇년간 입결이 고려대와는 비교가 안되고 있는 이유라 생각합니다.

    오전 3:56 | 삭제 신고
  • sibu****

    연대가 확실히 그런면이 있다. 사회에서도 꼭 서울대 고려대 아니라도 회사에서나 어디서 자기대학 나온사람 있으면 서로 선배네 후배네 하면서 엄청 반가워하고 올레올레! 하는데 연세대 출신들은 "끝나고 연대끼리 모여" "연대끼리 2차" 그런모습이 전혀 없다. 학풍이라는게 정말 존재하는건가 몰라도 신기하다.

    오전 4:06 | 삭제 신고
  • cind****

    연세대는 설립자가 작고한 이후, 유족들이 학교를 학생들에게 환원한다고 이사장 자리를 마다하는 바람에 지금까지 주인이 없이 지내온 대학이다.그래서 다른 대학들과는 달리 어떤 성향을 가진 인물이나 집단이 휘어잡고 자기들 뜻대로 만들어간 대학이 아니라는게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점이기도 하다. 어느대학들 같은 경우엔 의도적으로 마음먹고 권력기관에 많이 끼어 넣도록 유도하는데 서울대와 고려대는 일제시대때부터 그렇게 해왔었다. 외국 선교사가 설립한 연세대는 이사장에서 처음부터 권력엔 전혀 관심을 안두었었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형성된 학풍이다.

    오전 4:26 | 삭제 신고
  • rads****

    연대는 개인주의 성향 강하고 고대는 집단주의

    오전 5:57 | 삭제 신고
  • hoho****

    개인주의라기 보다.. 만나면 반갑지 정도 더 가구. 일부러 모여서 먼가 모임을 만드는 그런걸 좀 거추장 스럽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

    오전 6:52 | 삭제 신고
  • real****

    "그런 사소한게 다 하나하나 이유가 되는겁니다. 정치라는 것이 결국 사람과의 관계, 어떤 네트워킹, 사람을 동원하고 뭐 그런건데 연세대 출신들은 학교에서 그런 것에 별로 메리트를 못 느끼게 배웁니다. 권력지향성도 상대적으로 적고…. 대신 집단 보다는 개인의 매력을 중시하고 자유롭게 내 사업, 내 일을 즐기는 스타일을 학교 다니는중에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하는 분위기입니다"






    오전 9:03 | 삭제 신고
  • real****

    서울대는 남과의 비교에서 우수함, 톱(top)을 지향합니다. 곧 철저한 자기관리와 엄격한 자기절제, 비정할 만큼의 자기노력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고려대는 다른 모든 가치를 ‘공동체’ 안에 녹여 버리는 기질이 있어요. 고려대가 내세우는 정의감이라는 것도 사실 공동체의 행복을 지향하는 것입니다. 반면 연세대는 철저하게 자기 본위, 이기적인 어떤 부정적 의미의 개인성향이 아니라 보다 긍정적인 의미에서의 프라이버시를 추구합니다. ‘나는 당신의 생각과 당신의 행동을 모두 이해하고 받아들인다. 그러니 당신도 나를 가만히 나두라' 곧 자유죠

    오전 9:36 | 삭제 신고
  • aero****

    서울대 - 제도화된 권력조직 청와대 성향, 고려대 - 시골 부락공동체 성향, 연세대 - 강남 성향

    오전 9:41 | 삭제 신고

 
  • 경희대애들 ㅈㄴ 깝치던데 만약 문재인[경희대법학과] 대통령 되면경희대 아주 서울대 뺨다구 갈기려고 들겠고만 바로옆학교 다니는데 경희대 색기들이 건물도 무시하고 학교도 무시하는 꼬라지 못봐주겠던데 영문이나 한국어교육학과는 우리가더높고만

    • simp****

      지랄들 떨러 오겠네ㅋㅋ 난 솔직히 그냥 어중간한 인서울 붙을 성적이여서 미국 진짜 듣보잡대 우리나라로 치면 그냥 인서울인 학교 정도? 졸업해서 영어 마스터해서 면접 받고 삼성전략마케팅부서에 바로 들어왔다 좋은 대 나오면 뭐해 영어 한마디 제대로 할줄 모르고 공부밖에 할줄 모르는 애들이 대다수인데ㅋㅋㅋ 미국듣보잡대한테도 밀리는 주제에 무슨ㅋㅋ



      근데 왜 고대만 왜 안암이고 다른 대학은 다 서울이라고 해 놨냐 그러면 연대도 신촌이라고 하고 중앙대는 흑석 동국대는 필동이라고 해야 할거 아녀




    • 중앙일보 평가를 통해서 경희대가 한양대를 제꼈다, 중앙대가 외대를 제꼈다. 정도는 이슈가 되겠지만 연대가 서울대를 제꼈다, 성대가 고려대를 제꼈다 그러면 믿겠냐? 코미디인줄 알거나 자료가 틀렸거나 평가기준이 애매한가 보네 등등 다른 생각하지.


    • 외대 본캠 일본학부 다니고있는데 중퀴벌레나 바로옆 경희색기들이 무시한는데 어찌된거죠? 이딴사 때문에 중퀴들이 더설치나


      • matc****

        중앙일보 대학평가 팀장이자 중앙일보 대학평가를 총괄하는 강홍준 기자는 연세대 출신으로 현재 성균관대 국정관리 대학원에 재학 중입니다. 얘기 끝


        • rads****

          걍 지네 재단 학교 밀어주기 순위구만ㅋㅋ.. 중앙일보 =삼성= 성균관대니 중앙일보가 성대 밀어주는게 당연하겠지..... 고려대학교가 "동아일보 대학평가" 를 만들었어봐라.. 고서연성 이랬을거다 ㅋㅋㅋ


          • real****

            지난 몇년간 대학 도서관평가 연세대 1위. 외고 과학고 특목고 출신 지원대학 1위. 소비자평가 대학병원 1위. 대학연맹배 바둑대회 1위. 대학 스타크래프트 대항전 1위. 전국대학 해킹대회 3연패 포스텍 제치고 1위. 하더니 결국 고시만 수두룩 보는 서울대 고려대보다 다양성을 살리고 개성을 중시하는 학풍이 연세대를 가고싶은대학 1위로 만들었고 그 결과가 이제 서서히 나타나는거라 본다.


            ilov****
          • 🦋🐞전용홀더 채택으로😄😅"잔동작" 없이💕🚎맺고 끊음이 분명하여 🚠🚂 순식간에 책을 펼치는데 특화된 🛴🛵"노원도킹책갈피세트"⚽️🏀
            posted by "공릉역가즈아"님의 주식블로그💃🥰🦋🦐🦕🐉
            :